노인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다른 나라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략적으로 만65세를 기준으로 하는것 같습니다. 이 나이가 지나면 경우에는 여러가지 혜택이 주어지게 됩니다. 저희 아버지도 이 라인을 넘으셔서 여러가지 혜택을 받으시고 있습니다. (지역마다 65세가 아닌경우도 있습니다. 70세에 추가 혜택이 있는곳도 있죠)

 

이동통신 , 공공 시설 이용, 전기와 상수도 등 여러가지 요금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좋은것은 이동수단에 대한 것이 아닐까 싶어요. 자동차 운전에 대한 부담이 많은 나이이기 때문에 이러한 혜택은 너무 좋다 생각이 드네요. 서울에 거주 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특히 경로우대 교통카드에 많은 감동을 받을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방법과 절차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단 서울부터 들어가 볼께요

 

서울은 2가지 방법으로 발급이 가능해요. 신용카드(체크포함)기능이 들어간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한은행으로 가서 신청을 하면 됩니다. 이건 대리발급이 안됩니다. 그냥 단순 교통기능만 들어간것이 필요하다면 주민센터로 가시면 됩니다. 준비물은 신분증만 가져가시면 됩니다. 버스는 유료입니다!

 

경기도도 들어가보겠습니다.

 

경기도는 G-Pass 라는 이릅입니다. 예전에는 1회용 종이승차권을 받아서 했는데, 교통카드 방식으로 완전히 바뀐것이지요. 서울과는 다르게 주민센터에서 발급이 안되고 NH 농협에 가서 받아야 합니다. 신분증만 있으면 어렵지 않게 수령할수 있습니다.  서울권에 있는 전철과 지하철을 꽁짜로 이용할수 있고, 서울과 마찬가지로 버스는 유료입니다!

 

이러한것들이 대도시 지하철이 있는 곳에는 대부분 발급이 되고 있습니다. 광주와 대전의 경우에는 KEB하나에서 신청을 하시면 되고요, 부산은 부산은행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이렇게 지역별로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발급처를 미리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은행에서 발급하는 경우 대리 신청이 불가능한 곳이 많으므로 반드시 본인이 직접 가야 합니다.

또한,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중교통 요금 할인이나 면제를 제공하지만, 버스 요금은 무료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용 시 요금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