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컴퓨터를 이용하면 당연히 깔려 있는 것이 바로 메모장입니다. 영어로는 notepad 라고 불리우는 프로그램이지요. 과거 윈도우 12 이전에는 정말로 단순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11로 오면서 정말로 현격하게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다중 편집 지원 탭
  • 다크모드
  • 닫기시 자동임시저장

이 세가지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과거 20여년 동안 바뀌지 않은 것이 드디어 바뀌기 시작한 것이지요. 그래도 단점은 여전합니다. 기능이 매우단순하고, 접근성도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맥의 노트 프로그램과는 완전히 다르게 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포스팅은 메모장 프로그램에 대한 것 입니다.

스티커 메모장 프로그램

이러한 불편함을 대체하기 위하여  윈도우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트 프로그램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스티커 메모'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름은 계속 바뀌어 왔는데, 스티키라고도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윈도우11에서는 스티커 메모라고 되어 있습니다. 매우 훌륭한 메모 시스템입니다.

특징을 이야기해보면,

 

첫째, 클라우드 메모입니다. 윈도우에서 적은 것을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기화가 되는 어플 이름은 '원노트'입니다. 이름이 다르다보니까 찾기 힘들었습니다.

둘째, PC 바탕화면 메모장으로, 바탕화면에서 포스트잇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 역시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윈도우 시작키를 누른 다음 '스티커 메모'라고 검색하면 실행할 수 있습니다.

에버노트 메모장 프로그램

두번째로 소개할 에버노트는 노트 프로그램의 전통 강자입니다. 스마트폰이 처음 생겼을 때부터 클라우드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었으며, 많은 사용자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많이 빠졌습니다.

 

최근에 변화가 굉장히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용자층이 빠져나가기 때문일까요...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오랜 사용자들이 빠져나가는 대신 신규 유입이 많아지는 느낌입니다. 저는 갈증중입니다.

  1. 클라우드 동기화가 완벽합니다.
  2. 무료와 유료 버전이 있고, 무료로도 충분히 이용 가능합니다. (요즘에는 이것도 아닌듯)
  3. 검색 기능이 매우 훌륭합니다.
  4. 웹 클리핑 기능이 뛰어납니다.
  5. 다양한 기능이 많이 있습니다.

Evernote 바로가기 : https://evernote.com/intl/ko

위 링크를 통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OS에서 지원 가능하며, 오랜 세월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은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킵

세번째로 소개할 것은 Google Keep 입니다. 구글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은 구글 킵도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1. 구글 클라우드 용량을 공유합니다.
  2. 보관 기능을 이용하면 오프라인 저장도 가능합니다.
  3. 비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4. 빠르며, 모든 운영체제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안드로이드 폰에서 이용하면 좋습니다.

구글 킵은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웹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구글 독스와 비슷한 성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타 등등 이 외에도 다양한 노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기억나는 것만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심플노트: 말 그대로 심플한 필기 어이고, 무료입니다. 이미지 첨부가 안 되어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2. 노션: 노트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거대한 업무 시스템입니다. 위키라고 봐야할까요? 너무 무겁고 기능이 많아 부담스럽습니다.
  3. 원노트: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으로 승격되었고, 펜을 이용한 필기에 유용합니다.
  4. 베어: 맥 전용입니다. 아이클라우드 용량을 사용할 수 있고, 유료와 무료 둘 다 있습니다. 마크다운이 훌륭합니다.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료 요즘에 옵시디언이 유행을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한번 찾아 봐서 사용을 해본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에는 입문용으로는 그렇게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1) 클라우드 시스템이 아님.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함. 또는 고생을해야함

2) 마크다운 시스템임. 마크다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적응에 힘들것임. 

3) 2에서 파생된 문제이긴 한데, 텍스트 기반 마크다운이기 때문에 첨부문서 관리가 쉽지 않음. 이를 해결할 플러그인도 있기는 한데, 이것마저도 적응하기 어려움

4) 1번에서 파생된 문제이긴한데, 공유가 잘 안됨. 그니까 혼자쓰기 좋은 시스템임.

5) 시스템이 불친절함. 상업적인 요소가 적기때문에 애들은 돈벌생각이 없어보임. 마치 리눅스 같아보임.

 

이정도 문제가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