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의 곡 중에서 보릿고개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이 노래의 가사는 요즘시대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는 내용이 가득하지요. 저도 보릿고개라는 말을 거의 듣지 못하고 자라왔습니다. 아마도 5~60년대 사람들만 이해를 할 수있는 말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보릿고개라는 말은 한국의 봄철의 '기근'을 설명하는 말입니다. 벼를 심고 추수를하고, 그리고 그곳에 보리를 심게 됩니다. 2모작이라고 불리우는 농사를 짓게 됩니다. 작년에 추수한 쌀이 5~6월에는 바닥이 보이는데, 이 시기는 보리가 여물기 전입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구황작물로 이 시기를 버텨 내게 됩니다.

 

진성의 보릿고개 가사는 위와 같습니다. 생각보다 잘 이해는 되지 않는 가사입니다. 80년대 생인 저는 납득이 되지 않지요. 아마도 벼의 품종이 개량이 되고, 보관방법이 늘어나고, 여러가지 작물들을 수입하면서 이와 같은 단어가 사라지게 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주 오래된 노래들은 상당부분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이것 말고도 많은 노래들이 마음에 와 닿지는 않습니다. 그냥 부모님들이 좋아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