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CAST U형 GIRDER(BEAM)는 197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교량형식으로써 높은 지간대 형고비 및 미적인 조형성의 우수함, 경제성 등으로 인하여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 1980년대 이후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개발 초기 AASHTO의 구형 BOX교의 대체 교량으로 효율적인 단면구성을 목표로 하부플랜지가 좁은 형태의 다중 BOX교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상부바닥판(플랜지)간 접착면의 JOINT 문제해결을 위해 U형태의 거더를 PRECAST로 제작 설치하고 상부바닥판을 연속적으로 현장타설하는 방법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 시공성 및 경제성 개선을위한 다양한 형태의 U형 GIRDER교가 개발·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의 각 지역 주 교통국에서는 표준화된TYPICAL DRAWING DESIGN MANUAL을 작성하여 사용하고 있다.유럽의 경우 U형태의 거더교의 사용이 중소지간 교량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 한강개발 사업시 염창교, 동작2교(올림픽대로상)가 설계·시공되었다. BOX 형태의 거더교는 미국 및 유럽 등에서 1980년대 이후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교량 형식으로 1979년에서 1989년 사이 미국에서 건설된 P.S.C 교량의 1/3을 차지하는 형식이다.당초 PRECAST U-GIRDER는 1980년대부터AASHTO의 BOX교 및 I형 BEAM교를 대체하기위하여 미관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시도는 I형 BEAM교 보다는 저렴하지않으나 경제성 및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미적인 조형성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U형 BOX GIRDER교는 다음의 3단계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 제1단계 : 효율적인 단면구성효율적인 단면구성을 통한 경제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부플랜지의 폭은 좁히고 P.S를 도입한 다중 BOX 형태의 단면을 개발하였다.
● 제2단계 : 상부 바닥판(플랜지) 개선PRECAST로 제작된 다중 BOX교는 종방향JOINT 발생이 필연적이며 개발초기 바닥판 BOX의 상부 플랜지 접속부를 무수축 몰탈로 충진하고횡방향 POST TENDON을 도입하였으나 비용이증가하고 JOINT부에 누수 및 균열 등의 문제가발생하였다.캐나다 ONTARIO주에서는 상부 바닥판(플랜지)을 현장타설시공하여 종방향 JOINT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횡방향 POST TENDON을 배제하여시공성 및 경제성을 개선하였다.
● 제3단계 : 현재 각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U-GIRDER가시공성의 개선, 지간대 형고비의 증가, 경제성 향상 측면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CivilE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티파이 가격 그리고 3개월 체험 종료 (0) | 2023.09.07 |
---|---|
나주 일자리 지원센터 방문하기 (0) | 2023.03.22 |
PSC I-Beam 8경간 연속교 (0) | 2021.01.01 |
무바닥판 콘크리트 아치교 (0) | 2020.12.28 |
V형 일면 로제 아치교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