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순우리말로 이름을 짓는 경우가 꽤나 많이 있습니다.. 주변을 살펴보면 순우리말 이름을 가진 친구들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들은 매우 아름답고 개성 있게 들리지만, 여전히 한자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에 사용된 한자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름 한자찾기에 대한것입니다.

과거에는 한자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학교에서 한자 교육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중고등학교에서도 한자 교육은 주당 몇 시간에 그치거나, 아예 한자 과목이 없는 학교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이름에 쓰인 한자를 모르거나, 한자를 어떻게 확인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신의 이름에 사용된 한자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몇가지 힌트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원하는 한자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첫째, 한자의 모양만 알고 있을 때입니다. 이 경우에는 네이버 한자사전의 필기인식기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필기인식기에 한자의 모양을 대략적으로 그리기만 해도, 비슷한 한자를 자동으로 찾아주기 때문에 정확하게 그리지 않아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한자사전

 

여기로 들어가서 검색창 우측에 있는 연필 모양을 클릭하면 필기인식기 팝업이 나오게 됩니다.

 

둘째, 뜻과 음만 알고 있을 때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네이버 한자사전을 활용해 뜻과 음을 검색하면 해당 한자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글에서 바로 한자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되므로 이를 이용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아무런 정보도 모를 때입니다. 이럴 때는 주민등록증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주민등록증에는 이름의 한자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학생이거나 주민등록증이 없다면, 정부 24 사이트에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24 사이트

 

여기로 들어가서 간편인증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자신을 증명하고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또한, 네이버 사전 앱을 이용하면 필기인식기, 음성인식, 카메라 촬영 등의 기능을 통해 한자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이름에 담긴 한자의 의미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