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을 맛있게 끓이는 여러가지 레시피가 있죠. 하지만 제 생각에 가장 중요한것은 바로 물의 양입니다. 1개 끓일때는 500ml 인데, 2개 끓일때 1000ml 넣으면 맛이 애매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짜 희안하죠. 이번포스팅에서는 라면 3개 물양 뿐만아니라 여러가지 상황에서 대응책을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이에대한 답은 이미 농심에서 냈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이미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바로 답은 이겁니다.
라면개수 | 추천 물의 양 |
1개 | 550ml |
2개 | 880ml |
3개 | 1,400ml |
4개 | 1,800ml |
5개 | 2,300ml |
보면 이상하지 않습니까? 1+1을 했는데 2가되지 않는것이죠. 라면 1개일때는 550인데, 2개면 880이 되는거죠.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농심 면개발팀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는 조리 중 물의 증발 때문입니다. 냄비에 물이 적을수록 증발이 빨라지기 때문에 라면 1개를 끓일 때는 많은 물이 필요하지만, 라면이 많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증발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의 양을 줄여도 된다는 것이죠.
또한, 스프 양도 물의 양에 맞게 조정됩니다. 농심 연구팀은 여러 실험 끝에 가장 이상적인 맛을 내는 조합을 찾아냈고, 그 결과가 바로 위의 표입니다.
그리고 여러 사용자들이 팁을 추가적으로 더 주었는데...
1) 뚝배기로 끓이면 증발이 심하기 때문에 물양이 더 필요하다.
2) 얼굴 앗붓게 하려면 국물을 덜 짜게 하면 된다.
3) 880으로 하면 너무 맵다. 그래서 스프양도 조절해야한다.
그리고 스포 양 조절도 해야합니다. 라면 2개라고해서 2개 다 넣으면 안됩니다. 1 + 2/3 정도가 적당합니다. 3개의 경우에는 2+2/3 정도입니다. 살짝 적게 넣는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요.
저는 이걸 자연스럽게 체득하였습니다. 물을 2배로 붓는것이 아니라 살짝 적게 넣고, 스프도 살짝 적게 넣으면 어느정도 맛이 적당하더라고요... 여튼 과학적(?)으로 연구해 놓은게 있으니까 여러개 끓일때 참고 해보시죠.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정리 및 추천 결제일 (0) | 2025.06.23 |
---|---|
티머니고 공항버스 예매 하는 방법 (2) | 2025.06.23 |
윈도우11 캡쳐도구 다운로드 하기 (0) | 2025.05.25 |
아침마당 티벗 퀴즈 참여방법 간단하게 정리 (0) | 2025.05.25 |
101 전화 번호 갑자기 왔습니다. (0) | 202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