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집 차가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아이들이 셋이나 되니 점점 차가 좁게 느껴져서, 이번에 중고차로 팔고 더 큰 차로 바꾸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중고차 거래를 준비하다 보니 꼭 필요한 서류 중 하나가 바로 ‘자동차세 완납증명서’더라고요. 매년 6월과 12월, 잊지 않고 꼬박꼬박 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증명서가 필요하니 어떻게 발급받아야 할지 조금 막막했습니다.자동차세는 1년에 두 번(6월, 12월) 나눠서 납부하는 세금이죠. 혹시라도 납부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이 붙으니 잊지 말고 챙겨야 합니다. 참고로 1월에 1년 치 세금을 미리 납부하는 ‘연납’을 신청하면 세액 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처럼 자동차세 납부 증명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완납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확한 서류의 명칭

먼저 알아둘 점은, 이 서류의 공식 명칭은 ‘자동차세 완납증명서’가 아니라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라는 것입니다. 발급 메뉴에서 ‘자동차세’ 항목을 선택하여 체납 내역이 없음을 증명하는 방식이죠. ‘자동차세 완납증명서’라는 이름으로 찾으면 메뉴가 없어 당황할 수 있으니 꼭 기억해두세요.

발급 방법 1: 직접 방문 신청

가장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신분증을 가지고 가까운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나 구청, 시청의 세무과를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간단하지만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소정의 발급 수수료(약 800원)가 있습니다.

발급 방법 2: 무인민원발급기 이용

지하철역이나 관공서, 마트 등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보다 편리하고 수수료도 더 저렴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메뉴를 찾아야 합니다.

온라인(위택스)에서 발급받은 증명서 예시

발급 방법 3: 인터넷 온라인 발급 (추천)

가장 편리하고 빠른 방법으로, 집이나 사무실에서 무료로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은 ‘정부24’ 또는 ‘위택스’ 두 곳에서 모두 가능하며, 어디서 발급받든 법적 효력은 동일합니다.

  • 정부24: 정부의 모든 민원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포털입니다.
  • 위택스(Wetax): 지방세 납부 및 증명서 발급에 특화된 사이트입니다.

온라인 발급을 위해서는 본인 인증이 필요합니다. 예전처럼 공인인증서만 고집할 필요 없이, 요즘에는 카카오톡, 네이버, PASS 앱 등 사용하기 편한 간편인증으로도 쉽게 로그인하고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온라인 발급(전자문서지갑 또는 출력)을 선택하면 바로 PDF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